<작은책> 2018년 8월호
독립영화 이야기_ 이마리오 감독의 <더블랙>
두려움은 제가 가져가겠습니다
류미례/ 독립영화 감독
▲영화 <더블랙> 스틸컷.
<더블랙>이 드디어 개봉합니다. 제가 처음 이 영화를 본 건 3월 말이었습니다. 영화에 반한 저는 <작은책> 독자들에게 소개하려고 내내 개봉일을 기다려 왔습니다. 영화 보던 날 관객과의 대화에서 연출자 이마리오 감독이 영화가 곧 개봉할 거라고 했거든요. 그동안 저는 매달 마감 무렵이면 감독에게 개봉일을 묻는 문자를 보냈습니다. 하지만 시간은 마냥 흐르고 기약없이 미뤄지기만 했습니다. 그렇게 긴 걱정을 하던 중에 8월말 개봉 소식을 들었습니다. 드디어 소개글을 쓰게 되어서 기쁩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사실 즐겁게 볼 만한 영화는 아닙니다.
▲영화 <더블랙> 스틸컷.
영화는 흑백 재연 화면으로 시작합니다. 선한 눈매의 한 남자가 서울역 고가도로에 서서 하늘을 올려다봅니다. 그리고 손에서 켜지는 라이터. 라이터에 불이 켜지는 순간 빨간 불꽃이 켜지며 화면은 컬러로 바뀝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뉴스는 그 남자가 특검 수사를 요구하며 분신자살을 시도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고 이남종 열사의 이야기입니다. 서울 활동을 접고 강릉으로 이주하여 평화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던 이마리오 감독의 마음에 이 사건은 깊은 상흔을 남깁니다. 언론에서는 그의 죽음에 대해 아무런 얘기를 하지 않았고 거의 모든 이의 기억에서 그의 죽음은 지워져 갔지만 이마리오 감독은 끝내 잊지 않았습니다. 그가 왜 죽음을 선택했는지를 알기 위해 카메라를 들었고 우리는 이제 4년 만에 그의 영화를 만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마리오 감독에게는 개인적으로 특별한 동질감을 느낍니다. 나이도 같고 데뷔년도도 같습니다. 그리고 오랫동안 영화를 만들지 않고 있었다는 공통점도 있습니다. 저야 생활고에 치여 아르바이트와 교육에 전념하느라 영화를 못 만들고 있지만 이마리오감독은 강릉에서 미디어 활동가로, 후배 감독들의 프로듀서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제가 그의 행보에서 감동했던 순간이 있습니다. 상업적 논리에서 벗어나 있는 독립영화는 공적 지원에 기댈 수밖에 없습니다. 어느 해의 독립영화 제작 지원 면접 심사장에서 이마리오 감독을 만났습니다. 당시 이 영화는 ‘메멘토 모리’라는 가제를 달고 제작 중이었는데 뜻밖에도 그날 이마리오 감독은 자기 영화가 아닌 후배들 영화의 프로듀서로 면접을 보러 왔더군요. 이제 막 스무 살이 되어 가는, 갓 영화를 시작하는, 어쩌면 제자였다가 이제는 동료가 된 후배 감독들을 위해 이마리오 감독은 성심성의껏 면접을 보고 강릉으로 돌아갔습니다. 마흔에서 쉰이 되어 가는 나이. 원치 않아도 중견이라 분류되고 그래서 작품을 만들 때마다 어깨가 무거워지는 시기에 후배들의 출발을 위해 자신에게 있는 가능성을 과감히 버리는 그 모습에서 크게 감동받았습니다.
그리고 2018년, 동갑이자 데뷔 동기인 이마리오 감독의 이 신작을 저는 감격해 가며 만났습니다. 빼어난 영상미와 꽉 짜인 구성이 놀랍기만 합니다. 다섯 개의 챕터, 그러니까 ‘오피스텔 607호’, ‘디지털포렌식’, ‘검찰특별수사팀’, ‘더블랙’, ‘이남종’이라는 소제목 아래 국정원 댓글사건부터 촛불항쟁까지를 일목요연하게 펼쳐내는 유려한 이야기 솜씨에 또 반하게 됩니다. 챕터가 바뀔 때마다 등장하는 화면, 자막 하나하나마다 공들인 흔적들을 보다 보면 그 꼼꼼함에 한숨이 나올 정도입니다. 또한 국정원 직원으로 추정되는 김 아무개 오피스텔 앞의 생생했던 현장 상황과 디지털포렌식이 진행되던 경찰서 내 CCTV 화면, 김 아무개의 휴대전화에 전송되던 국정원 심리전단 동료들의 문자 같은 것들은 이마리오 감독의 지난 4년간의 치열함을 짐작하게 합니다.
▲영화 <더블랙> 스틸컷.
개인적으로는 진실을 대면한 경찰들이 어떻게 할지를 두고 토론하는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대선이 사흘밖에 안 남았기에 댓글사건의 수사 결과가 대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모르지 않은 경찰들은 자신들의 안위와 방금 찾아낸 진실 사이에서 갈팡질팡합니다. 결국 그렇게 사건은 무마되고 박근혜는 대통령에 당선되지요. 출구조사가 발표되던 순간, 광화문에 모여 있던 관중들은 퀭한 표정으로 침묵합니다. 그 장면은 우리가 지나왔던 시간을 몸서리치며 떠올리게 해줍니다.
제목 ‘더블랙’은 블랙요원을 의미합니다. 블랙요원이란 정보기관 소속 요원 중 신분을 밝히거나 내세우지 않고 은밀하게 활동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인데 흔히 ‘스파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는 스파이들은 세계평화나 적국의 정보 수집을 위해 고군분투하는데 <더블랙>의 스파이들은 댓글 다는 것이 일입니다. 오피스텔 607호에 거주하던 블랙요원 김 아무개의 행보에서부터 경찰과 검찰 수뇌부의 은폐 노력까지를 치밀하게 담아 내던 영화는 갑자기 재연배우의 입을 통해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그런데 촛불이 그 이남종이라는 분하고 무슨 상관이죠?”
그리고 이마리오 감독이 고 이남종 님의 유서를 읽습니다.
“여러분, 보이지 않으나 체감되는 공포와 결핍을 제가 가져가도록 허락해 주십시오. 두려움은 제가 가져가겠습니다. 일어나십시오.”
다큐멘터리 감독은 영매와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나의 주인공이 아프면 나도 아픕니다. 나의 주인공이 기쁘면 나도 기쁩니다. 그리고 나의 주인공이 죽어서라도 하고 싶었던 말을 나는 나의 입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들려줍니다. 고 이남종 님의 마음이 되어 그분의 말을 대신 전해 주는 감독의 목소리는 그래서 특별하고 깊습니다. 최근 ‘기무사 쿠데타’에 대한 문건이 등장하면서 우리가 얼마나 아슬아슬한 시간을 거쳐 왔는지를 새삼 압니다. 뒤늦게 가슴을 쓸어내리기는 하지만 사실 134일의 촛불항쟁동안 우리는 두렵지 않았습니다. 고 이남종 님의 마지막 유언은 약간의 시차를 두긴 했지만 뒤늦게 실현되었습니다. 이 영화를 두려움 없이 볼 수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축복입니다. 촛불로 부패한 정권을 몰아냈기에 공포정치를 끝낼 수 있었고 비로소 우리들은 이 영화를 마주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더블랙>은 8월말에 개봉합니다. 기억하는 마음으로 반갑게 맞아 주세요. (문의: 이상욱PD 010-5364-9885)
※ 이 글이 쓰여진 시점에는 8월말 개봉예정이었으나 이마리오 감독은 8월 28일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개봉 시기를 9월 중순으로 밝혔습니다. (편집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