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작은책
'세상을 바꾸는, 일하는 사람들의 글쓰기' - 진보월간 <작은책>입니다. 1995년 노동절에 창간되었습니다. http://sbook.co.kr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구자숙'에 해당되는 글 1

  1. 2019.10.29 ‘나중’은 끝이 없는 거였어

<작은책> 201911월호

살아가는이야기

교실 이야기

 

나중은 끝이 없는 거였어


구자숙/ 인천부개초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6학년 국어 시간. 우리는 요즘 교과서 대신 시간 가게를 읽고 있다. 시간 가게에는 아이를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이 먼저 떠나간 남편을 위해 자신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믿는 엄마가 등장한다. 엄마는 보험설계사 일을 하며 5학년 딸을 국제중에 보내기 위해 무리해서 좋은 학군으로 이사를 한다. 그리고 아이에게 공부를 시키며 말한다. 지금은 힘들지만 나중에는 웃게 돼.”

나는 읽는 것을 잠시 멈추고 아이들에게 물었다. 엄마가 이야기하는 나중은 언제일까?” 잠시 침묵. 한 아이가 말을 한다.

대학 가는 20대요. 아니다! 아니다! 제대로 취직하는 30대요. 그것도 아닌데. 결혼하고 애들 좀 크고 난 40대 중반? 그게 나중인 것 같은데요.”

. 그럼 인생의 반을 힘들게 살아야 하는 거야?”

아이들 눈동자가 공포로 휘둥그레졌다.

아이들 말을 듣고 나니 어떤 선배가 취중에 했던 이야기가 떠올랐다. 대학 가면 다 해결된다고 해서 죽어라 공부했거든. 그래서 대학 갔더니 제때 취업해야 한다고 하더라. 취업하고 나서 이제 된 건가 했더니 결혼해야 한다 하더라. 아마 내가 결혼하고 나면 그다음은 언제 애 낳을 거냐고 묻겠지. 아들도 낳아야 한다고 할 거고. 그다음 집은 언제 살 거냐고 할 거야. 젠장. 처음부터 끝이 없는 거였어.”

아이들에게 물었다. 너희들은 지금 행복해야 나중도 행복하다고 생각하니, 지금 힘이 들어야 나중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니? 이건 굉장히 다른 인생관이거든. 고민해 보렴.”

사실 나도 여전히 혼란스럽다. 중고등학교 시절이 정말 너무 재미없었고 철학 같은 건 가르쳐 주지도 않는 학교를 다니면서도 매일 아침에 눈을 뜨면 사는 건 원래 이렇게 재미없는 일인지 누군가 속 시원하게 이야기해 주었으면 했다. 공부는 정말 재미없었지만 내가 학교에서 배운 유일한 기술은 재미없어도 참고 꾸역꾸역 의자에 앉아 있는 일이었기에 어쨌든 한눈 팔지 않고 죽어라 문제집 풀이를 했고 교대를 가서 많은 이들이 부러워하는 철밥통을 꿰찬 공무원으로 살고 있다. 공무원으로 살면서 누리는 경제적, 정서적 안정감이 감사한 순간마다 생각했다. 중고등학교 때 지겹게 공부했던 게 다행이다. 그 지겨움을 견뎌서 내가 지금 이렇게 사는구나. 그러다가도 버스 정류장에서 생기 없는 눈빛으로 좀비처럼 버스에 올라타는 중고등학생들을 볼 때면 그 반짝이고 아름답던 시절을 문제집에 코 박고 평균과 등수 계산으로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것 외에는 무얼 했는지 기억도 안 나는 그 시절이 후회스럽고 다시 그 시간으로 돌아간다면 그렇게 살지 않으리라 하나 마나 한 생각을 해 본다.

얼마 전 20대 후반이 된 제자들을 만났다. 공무원 시험 준비로 거의 2년 만에 나온 제자가 쓸쓸한 얼굴로 말했다. 공무원 시험 이제 그만 보려고요. 2년을 해 봤는데요저 그냥 한 거 아니고 정말 제 삶을 갈아 넣었거든요. 그런데 답이 안 나와요. 이 정도 했는데 답 없으면 그만해야죠.” 그 아이는 공무원 시험은 정해진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문제를 풀어내는 실력을 보는데 완벽하게 답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탁탁 답안 체크만 하는 수준까지 외우고 공부해야지, 이게 답이 뭘까 고민하기 시작하면 게임 끝이라고 했다. 영어는 수준과 난이도가 너무 높아 시간을 들인다고 해결될 문제도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이건 내가 고등학교 내내 하던 짓 아닌가. 문제 풀이를 잘하기 위해 인터넷 강의를 듣고 학원을 다니면서 쓴 돈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며 서른 살이 가까워 오는 그 아이는 말했다. 정말 공부 좀 그만하고 싶어요. 뭔가를 시작하려면 다시 돈 들여 공부해야 하는 게 지겨워요 대학은 왜 다닌 건지.” 적어도 20대는 살고 싶은 대로 살았던, 지금은 그냥 주는 월급 받으며 별생각 없이 사는 속 편한 나는 급 부끄러워졌다. ‘요즘 아이들은 중고등학교 시절만 갈아 넣는다고 답이 나오는 게 아니구나정말 잔인하다.’



그리고 아들의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나는 또 심각하게 고민한다. 문제 풀이를 얼마나 잘하느냐로 가치를 매기는 곳에 아이를 보내야 할지 다른 방식으로도 살 수 있다고 안내해야 할지. 그래서 지난 주말 금산 간디학교 설명회에 갔다. 그곳에서 자기 삶을 스스로 고민하고 선택하며 살아가는, 상냥하고 따뜻한 눈빛을 가진 활기로 가득찬 중학생들을 보고 말았다. 그 아이들이 뿜어내는 싱그러운 에너지에 매료되어, 우리 아들이 나중에 먹고사는 건 모르겠고 삶의 가장 찬란하고 활기찬 청소년 시기를 이곳에서 꼬오옥 살았으면 좋겠다고 간절히 바라게 되었다. 설명회를 진행하던 선생님은 마지막에 이런 말을 했다. 엄마 아빠 머리로, 부모님 매니지먼트에 따라 사는 게 아니라 자기 삶을 스스로 고민하고 만들어 가고 성장하고 싶은 학생을 기다립니다.”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을 지켜보며 마음이 복잡했다. 좋은 대학을 보내기 위해 학교가 부모가 사회가 어떻게 아이들을 달달 볶아 대는지, 그 과정에서 아이들 삶은 얼마나 소외되는지, 그래서 이 지겨운 입시공화국 대한민국에서 학생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얼마나 슬프고 잔인한 일인지를 생각하니 씁쓸하고 서글펐고, 진짜 피해자인 아이들은 쏙 빼고 어른들끼리 내쳐 싸우는 모습은 슬픈 코미디처럼 보여 부끄러웠다.

아이들에게 내가 아이였을 때 가장 듣고 싶었던 질문을 던지고 싶다. “너는 요즘 사는 게 어떠니? 재미있니? 행복하고 재미있고 나답게 산다는 건 뭘까? 당당하게 어른으로서 독립하려면 무엇이 필요하니? 그러려면 어른들이 그리고 이 사회가 무얼 도와줘야 할까?” 그리고 이런 질문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이 어떻게 살아야 행복한지 아는 어른으로 커 가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지금이 행복해야 나중도 행복한 거라고 망설임 없이 이야기하는 교사로 살고 싶다

posted by 작은책
prev 1 next